Definition

집단지성에 대한 정의들은 다양하다.  집단지성의 개념은 사회학, 인류학, 컴퓨터 공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되고 있고 따라서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몇 몇 학자들의 정의와 이를 기반으로 집단지성의 의미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Collective intelligence is the result of the proper aggregation of local information in generating a global solution to a problem that is more optimal than what any individual could have provided (Heylighen, 1999).
  • Groups of individuals doing things collectively that seem intelligence (MIT CCI, http://cci.mit.edu/)
  • Pór(1995): Collective intelligence is the capacity of human communities to evolve towards higher order complexity and harmony, through such innovation mechanisms as variation-feedback-selection, differentiation-integration-transformation, and competition-cooperation-coopetition.
  • Alag(2009): To effectively us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others to improve one's application
  • Atlee(2008)에 의하면 집단지성은 집단지능(group IQ)보다 한 차원 높은 것으로서, 집단의 모든 구성원들이 동일한 사고를 가질 수 있는 집단사고(groupthink)를 극복하여 지적인 수행을 성취하기 위해 개개인들의 협력 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인지를 향상시키는 과정으로서 정의하고 있다
  • Lévy(1994) 은 집단지성은 ‘어디에나 분포하며, 지속적으로 가치 부여되고, 실시간으로 조정되며, 역량의 실제적 동원에 이르는 지성’이라 정의한다(p. 38).
  • Lévy(1994)는 개미 집답과 같이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계급으로 나뉘어 일을 하는 전체주의적 프로젝트들은 집단지성과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정의에 대한 공통점과 특징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지성은 단지 집단이 모여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집단 문제해결 그 이상이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  ' more optimal than what any individual could have provided(Heylighen, 1999) ',  
  • '집단이 지성적으로 행동한다(MIT CCI, http://cci.mit.edu/)',
  •  'evolve towards higher order complexity and harmony(Pór, 1995) ',
  •  '집단지능(group IQ)보다 한 차원 높은 것' 등으로 기술하고 있다(Atlee, 2008).
* 무엇이 집단을 단순한 집합적 문제해결을 넘어서 지성적으로 행동하고 보다 고차원적 문제해결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가?

둘째,  집단지성은 독특한 집단과정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 the proper aggregation(Heylighen, 1999)
  • doing things collectively(MIT CCI, http://cci.mit.edu/)
  •  innovation mechanisms(Pór, 1995)
  • 개개인들의 협력 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인지를 향상시키는 과정(Atlee, 2008)
  • 역량의 실제적 동원에 이르는(Lévy, 1994)
* 집단지성은 구체적으로 어떤 집단적 과정을 필요로 하는가? 

셋째, 집단지성은 결과와 과정을 모두 강조한다. 따라서 공동의 목적을 달성한다고 해도 집단응집성이나 철저한 역할분담에 의한 분파주의적 접근은 집단지성의 의미에서 배제된다.
  • Lévy(1994)는 개미 집단은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지만 철저히 역할과 계급이 나뉘고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일하는 전체주의적 집단활동을 집단지성의 반대개념으로 규정
  • Atlee(2008)는 집단의 모든 구성원들이 동일한 사고를 가질 수 있는 집단사고(groupthink)를 극복하여야 집단지성이라 할 수 있다고 주장함
* 어떤 방법으로 집단적 사고를 극복하고 개개 모두가 참여한 자율적 상호규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